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F
- 마케팅클라우드
- 제목은음식인데
- 세일즈포스
- 힘들어도
- 생산성 #24시간알차게 #올해의시간트레이닝 #셀프코치
- 프랑스어
- 윈도우 #크롬탭 #크롭탭복사 #크롬탭복제 #크롬사용법 #크롬꿀팁 #업무꿀팁 #일상꿀팁
- MarketingCloud
- 마무리구원투수내동생땡큐
-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프랑스어기초
- 힘들다
- 셀포
- 국비과정
- 프랑스어단어
- 음식사진없음
- JPOP
- 프랑스어배우는이유
- 다먹어치움
- Today
- Total
뚜벅이
210304~05 공부메모들 본문
GUI 만들기 구상.
내가 만들것 <상품검색 프로그램 ,, 회원관리버튼 ,, 자판기관리 버튼 >
상품검색 프로그램
메인프레임
> 메인패널 : 검색화면 나오게한다. (카테고리A , 검색B - 두 갈래길.)
>> A
>>>C1 >>Detail
>>B
>>>C2 >> Detail
회원관리버튼
>회원고유번호검색
>>> 정보관리(신뢰포인트) .>>> 버튼 수정하기,
>>> 회원 로그관리
자판기관리 버튼
>> 자판기 선택(devicenum) -> 자판기 사물함 모양새 출력. ->>자판기 상태 제어 .
//
디비는 유리다. 섬세하게 다루어야 만! 한다.
0 없어서 나는 어마무시한 피해가 날 수 있다.
제약조건들은 대체 왜 필요하냐? {
키가 없는 사람 가능한가? 아니 /
학년이 없는 학생 가능한가? 아니.
아이디 없어도 안되고, 중복되어서도 안된다.
NOTNULL 그리고 UNIQUE 를 기억하자. 다른것도 많을 것이다.
NOTNULL UNIQUE 제약조건을 충족하는 친구들을 => 후보 키라고 한다.
그중 하나 정하면 기본키이다.
후보키가1개면 자동으로 그놈이 기본 키이다.
오토 인크리먼트 ->자동증가.
프라이머리키 기본키에 오토인크리먼트를 걸어서 사용합니다.
}
백준 TIP
입출력은 scanner 보단 BufferedReader 사용하는게 더 빠르다
이번 학기에 수강하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시간에 들은 것을 정리하자면
1. scanner에서 쓰는 버퍼보다 BufferedReader 에서 사용하는 버퍼 사이즈가 더 크다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i = 0; i < N; i++) { p[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br. readline()을 사용하면 한 라인(\n\r)을 읽어 string형으로 반환해준다.
StringTokenizer는 '공백'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백준 문제 예제 인풋들은
의 2번 라인과 같이 '공백'으로 구분자를 둔다.
만약에 BufferedReader의 readLine()을 사용할 경우, 반환 값이 '4 2 6 3 1 5'가 되므로 이걸 StringTokenizer를 사용하여 공백을 기준으로 나눠준다. 디폴트 구분자가 공백이고, 다른 걸 넣을 수도 있다.
StringTokenizer st= new StringTokenizer("자르고자 하는 문자열", "구분자") 로 쓰면 된다.
- 출력할 때 사용법
bw.write(Integer.toString(c.size())); bw.flush(); br.close(); bw.close();
BufferedWriter 도 사용법은 비슷하다. write()함수를 호출하고, 인자로 string 형태의 값을 넣는다. 주의할 점은 버퍼기반이기 때문에 출력하려고 넣은 값이 버퍼 사이즈보다 작으면 flush()를 해주어야 한다.
만약, 그냥 int값을 write()에 넣을 경우에는, 이상한 문자가 출력된다. write()함수는 인자를 여러가지로 오버로딩 되어있으므로 int도, char[] 도 string도 인자로 가능해서 코드 자체는 오류가 안난다. 하지만 인자의 자료형이 int로 되어있다고 해서 정수를 입력받는 용도가 아니라, 문자(char)를 int로 입력받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 출력값에 아스키코드(입력한 정수)에 따른 캐릭터형 값이 나온다.
**** 그리고 stream 사용할 때는 close()를 해야한다 ! ! ! !
출차:
감사합니다
//////////
천문학 - 보이는 만큼 알게 되는 학문이다.
천문관측의 기술에 따라 -> 우주에 대한 기술이 발달한다.
1. 눈 망원경 , 다채로운 색상.